반응형 IT,WEB51 티스토리 메인에 구글 애드센스 광고 다는방법 구글 애드센스를 메인에 2개다는 방법 티스토리에는 고수들이 많다. 이제 막 시작한 티스토리 사용자로서 고수들의 화려한 기술을 따라 가려니 아직은 힘들다. 어느 티스토리를 보니 메인에 구글 애드센스가 이쁘게 2개 달려 있었다.. 어찌달지,.......... 어떻게 달지, 혼자서는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답이없다. 그러다 고수의 홈페이지를 소스보기 모드에서 살펴보고서야 정답을 찾았다. 관리자모드에서 구글 애드센스를 나타내고 싶은곳에 빈화면을 만든다. 아이템에서 아무거나 하나 선택하고 바로 디자인을 클릭한다. 그리고 여기에 있는 내용을 모두 미련없이 지워 버리고 아래의 코드를 입력한다. 여기에서 본인의 구글 애드센스 코드로 변경만 하면 끝... 글을 쓰는 이시점에는 아직 본인의 구글 애드센스가 없다. 일단은 남.. 2014. 6. 7. 티스토리글을 페이스북,트위터로 내보내기 - 모르면 왕고생 티스토리에서 쓴글을 각종 SNS로 내보낼수는 없을까? SNS를 통한 광고효과를 절대무시할 수 없는것을 알기에 홈페이지등에 있는 SNS 내보내기를 프로그램 구현한다는것은 쉽지도 않고, 전문적인 기술이 있어야 하기에 초보자의 영역이 이미 아니다. 모르면 어렵고 알고, 알면은 너무나 쉬운일.... 티스토리 관리자 모드에서 플러그인 설정 으로 들어간다. 아래부분에 있는 글보내기 SNS 글보내기를 찾아서 아래와 같이 설정해 준다,. 저장을 클릭하고, 본인의 티스토리 글을 아무것이나 클릭해보면 위의 그림과 같이 마이피플,트위터,페이스북으로 글 보내기 버튼이 달려 있다. 인제 카카오톡과 다음이 합병했으니 마이피플은 카톡,카스보내기로 조만간 변경이 될것 같다. 네이버의 라인은 경쟁사이기에 티스토리에서 절대로 보내기를 .. 2014. 6. 7. 될때로 되라는 식의 낚시 블로그가 과연될까? 네이버 블로그를 랜덤으로 방문하다 보면, 블로그를 꾸민후 재택부업 광고를 하면서 달랑 글하나 올려놓고, 어떤 방문자든 걸리길 바라는 낚시 블로그들이 있다. 만약 입장을 바꾸어서, 여러분이 진짜 해당 재택부업에 관심이 있다고 있다고 하면 과연 그 블로그 주인장을 통해서 회원가입을 하게 될까?? 본인 같은 경우라면 진짜 관심이 있고 가입의사가 있다면, 다른 블로그를 더 검색해서 블로그 관리가 잘되고, 글도 많은 블로그 주인장을 통해 가입을 할것이다. 온통 재택부업 붐이 일면서.............. 마치 블록그에다 글올리고 홈페이지 바라고기 링크만 걸어 놓으면 될것처럼 생각하지만 세상에 공짜는 없고, 세상에 나 몰라라 하고 팽겨쳐져 있는 돈은 없는 법이다. 방문자도 블로그를 딱 보는 순간에 관리가 되는 블.. 2014. 6. 7. 블로그상위노출 - 왜 내가 쓴글은 상위 노출이 안될까? 모든 블로그 들의 로망... 최상위노출 블로그에 글한개를 작성할때 어떤사람은 몇시간씩 정성을 들여서 쓰기도하고, 어떤사람은 마우스로 다른사람의 글을 복사해서 쓰거나 단순한 이미지 몇개만 업로드후 몇분만에 글쓰기를 완료하는 사람도 있다. 네이버 검색이 생각하는 좋은 문서! 나쁜 문서? 질로 승부하느냐, 양으로 승부하느냐는 블로거의 선택... 하지만 정말 미우면서도 함께 할수 밖에 없는 네버의 검색기준을 무시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네버 같은 경우는 네버에서 공지하는 양질의 포스트글의 규정이 어느정도 공개가 되어 있으니 참고후 글을 작성하는것이 좋을것 같다. 즉 이렇게 써야 우리가 좋은 문서로 우리가 분류해 주겠다.. 라고 공개를 했으니까 http://naver_diary.blog.me/15015309273.. 2014. 6. 7. 모든 이미지링크시 외곽선 없애기 수많은 이미지에 외곽선이 출력될때 일일이 이미지 태그에 border="0"> 을 넣는것 보다는 style code 를 사용해서 한번에 변경하자. 이글이 유용했다면 에프링크해주세요 http://flink.kr/love 2014. 6. 5. 티스토리 우측 상단 메뉴바 없애 버리기 티스토리 기본스킨에는 대부분 우측상단에 메뉴바가 있습니다. 이것은 관리상 편리하기는 하지만 다음에서 서비스 하는 블로그라는 것을 한눈에 파악이 되므로 티스토리를 홈페이지처럼 사용하려는 사람에게는 필요치 않은 기능 입니다. style.css에 아래의 코드를 복사하시면 이를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tistorytoolbarid {display: none;} 2014. 6. 3. 이전 1 ···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