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젊은 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주근접이 가능한 곳에, 국가 재정과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시중 시세의 60~80% 수준으로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입니다. 이번에 입대조건 입주자격 소득조건 자산조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행복주택 이란?
젊은 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대중교통이 편리하거나 직주근접이 가능한 곳에 국가 재정과 국민주택기금을 지원받아 시중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하는 공공임대주택을 말합니다.
공급대상
- 무주택요건 및 소득ㆍ자산 기준을 만족하는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고령자, 주거급여수급자 등
최대 거주기간
- 대학생, 청년, 산업단지근로자 : 6년
-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입주자 : 6년(자녀 있는 경우 10년)
- 주거급여수급자, 고령자 : 20년
입주신청
입주신청절차
신청 (현장, 인터넷)
입주자격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아래 소득 및 자산 보유 기준에 해당하는 자
계층 | 입주자격 | 소득기준 | ||
---|---|---|---|---|
대학생 계층 | 대학생 | 대학에 재학중 또는 입·복학예정인 혼인중이 아닌 무주택자 | 본인 및 부모 월평균 소득 합계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 | |
취업준비생 | 대학(또는 고등학교 및 이와 동등한 학력이 인정되는 교육기관)을 졸업 또는 중퇴한지 2년 이내인 혼인중이 아닌 무주택자 | |||
청년 계층 | 청년 |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 혼인중이 아닌 무주택자 | 해당세대(세대원은 본인 기준) 월평균 소득 합계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 | |
사회초년생 |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한 기간이 총 5년 이내이며, 아래의 하나에 해당하는 혼인중이 아닌 무주택자 1)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는 자 2) 퇴직한 후 1년이 지나지 않은 사람으로서 구직급여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자 3) 예술인 |
|||
신혼부부·한부모가족 | 신혼부부 | 신청인 혼인기간 7년 이내 또는 만6세 이하의 자녀(태아포함)를 둔 무주택세대구성원 | 해당세대 월평균 소득 합계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맞벌이 120%이하) | |
예비신혼부부 | 혼인을 계획 중이며, 입주 전까지 혼인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자(혼인으로 구성될 세대원 모두 무주택자) | |||
한부모가족 | 만 6세 이하(태아포함)의 자녀를 둔 무주택세대구성원 | |||
고령자 | 만 65세 이상 무주택세대구성원 | 해당세대 월평균 소득 합계가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100% 이하 | ||
주거급여수급자 | 무주택세대 구성원인 「주거급여법 제2조 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수급권자 또는 수급자 | - |
무주택세대구성원이란?
- 주택을 소유하고 있지 않은 아래 사람을 말합니다.
1. 신청자 본인
2. 신청자의 배우자
(신청자와 세대별 주민등록표상 세대분리 되어있는 배우자(이하 ‘분리배우자’) 포함)
3. 신청자 또는 신청자의 분리배우자와 동일한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등재되어 있는 다음 각 단의 사람
1. 신청자의 직계존속
2. 신청자의 배우자의 직계존속
3. 신청자의 직계비속
4. 신청자의 직계비속의 배우자
4. 신청자와 동일한 세대별 주민등록표상에 등재되어 있는 다음 각 단의 사람
1. 신청자의 배우자의 직계비속
2. 신청자의 배우자의 직계비속의 배우자
*. 단, 배우자가 국내 거주하지 않는 재외국민이거나 외국인 등록을 하지 않은 외국인(국내거소신고를 하지 않은 외국국적동포 포함)인 경우 그와 혼인관계에 있는 내국인은 임대주택 신청이 불가합니다.
소득조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월평균소득의 70% 이하(1인가구 90%, 2인가구 80%)
- 2022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70% : 4,702,739원(3인가구), 5,335,439원(4인가구), 5,628,344원(5인가구)
*. 가구원수, 부양가족수, 미성년자녀수에 태아 포함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가구원수 | 월평균 소득 100% | 월평균 소득 110% | 월평균 소득 120% |
---|---|---|---|
1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3,353,884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3,689,272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4,024,661원 이하
|
2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5,005,376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5,505,914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6,006,451원 이하
|
3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6,718,198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7,390,018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8,061,838원 이하
|
4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7,622,056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8,384,262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9,146,467원 이하
|
5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8,040,492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8,844,541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9,648,590원 이하
|
6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8,701,639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9,571,803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10,441,967원 이하
|
7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9,362,786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10,299,065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11,235,343원 이하
|
8인가구 | 월평균 소득 100%
10,023,933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10%
11,026,326원 이하
|
월평균 소득 120%
12,028,720원 이하
|
자산조건
구분 | 소유기준 | 가격 산출방법 | 비고 | ||
---|---|---|---|---|---|
총자산 | 고령자 | 36,100만원 | 토지 | 소유면적 X 개별공시지가 | 해당세대가 보유하고 있는 모든 토지 대상(제외대상 토지) 농지원부상 농업인과 소유자가 동일한 토지, 공부상도로·구거·하천 등 공공 용지로 사용되고 있는 토지, 종중소유 토지(건축물 포함), 문화재가 건립된 토지, 목장용지를 목장의 용도로 사용하는 토지 |
산업단지근로자 | 건물 | 공시가격 | 단, 공시가격이 공시되지 아니한 경우(공장, 상가, 무허가건물 등)에는 지방자치단체장이 결정한 시가 표준액 적용 | ||
신혼부부·한부모가족 | 자동차 |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차량 기준가액 | 해당세대가 보유한 모든 자동차의 가액 합계 | ||
금융자산 | 조사일 기준으로 조회·확인된 금액 |
|
|||
대학생 | 8,500만원 | 일반자산 | 조사일 기준으로 조회·확인된 금액 |
|
|
청년 | 29,900만원 | 금융자산 | 조사일 기준으로 조회·확인된 금액 | 다른 자산가액을 합산한 금액에서 부채 금액을 차감하여 총자산 산출
|
|
자동차 | 3,683만원 |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차량 기준가액 |
|
*. 대학생은 자동차가액 산출대상 자동차를 소유하지 않을 것
총 자산 보유기준
- 36,100만 원 이하
- (부동산, 자동차, 금융자산, 기타 자산가액을 합산한 금액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
자동차보유기준
- 개별 자동차 가액 3,683만원 이하
- (비영업용 승용자동차에 한하며 장애인 사용 자동차, 국가유공자(상이 1~7등급) 보철용 차량은 제외)
- (「대기환경보전법」 제58조 제3항에 따른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보조를 받고 구입한 저공해자동차의 경우 자동차 가액에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
임대조건
- 시중 시세의 60~80% 수준
임대조건
표준임대조건
표준임대보증금 = 임대시세 x 공급대상 계수 x 50/100
표준임대료 = 표준임대보증금 x 시장전환율
공급대상 계수
공급대상 | 공급대상계수 |
---|---|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장기근속자 | 0.8 |
산업단지근로자 | 0.8 |
고령자 | 0.76 |
소득이 있는 청년 | 0.72 |
대학생, 소득이 없는 청년 | 0.68 |
주거급여수급자 | 0.6 |
마무리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젊은층의 주거안정을 위하여 교통여건이 우수한곳에 시중시세의 60~80%의 저렴한 수준으로 제공하는 주택이 행복주택입니다. 주거가 안정되지 않은 청년층을 위하여 LH에서 제공하는 주택입니다. 임대조건, 소득기준, 자산기준을 정확히 알아보시고 신청대상이면 신청하여 혜택을 보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
'정부지원 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방법 신청자격 등급판정 이용절차 (0) | 2024.01.27 |
---|---|
우리은행 데일리 워킹적금-걷기만 해도 이자가 최고 연 11% (0) | 2024.01.26 |
2024년 일자리 채움 청년지원금(빈일자리 청년취업지원금) 200만원 (0) | 2024.01.25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사업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제출서류 (0) | 2024.01.25 |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제도 신청대상 신청방법 지원금액 Q&A (0) | 2024.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