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립두배통장은 청소년쉼터나 청소년자립지원관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매월 1만 원 이상 10만 원 이하로 자유롭게 저축하면, 저축액의 2배(최대 20만 원)를 도가 추가적으로 적립하여, 청소년의 자립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720만 원만 저축해도 만기 시 2,16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니 신청요건을 살펴보시고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경기도, 가정 밖 청소년의 자립기반 마련을 위한 ‘자립두배통장’ 참가자 모집_수정(1).hwpx
0.20MB

 

 

 

 

목차

     

    청소년 자립두배통장 이란?

     

    *2년간 원금 기준으로 720만 원 -> 2년간 원금 기준으로 240만 원, 6년간 저축 시 원금기준 720만 원

    ‘자립두배통장’은 청소년쉼터나 청소년자립지원관을 이용한 청소년들이 매월 1만 원 이상 10만 원 이하로 자유 저축하면 저축액 2배(최대 20만 원)를 도가 추가 적립해 최소한의 자립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청소년이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2년간 원금 기준으로 240만 원, 도 지원금은 480만 원이며, 최대 6년간 저축하면 원금기준 720만 원, 도 지원금은 1,440만 원으로 총 2,16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저축 기간본인 적립금경기도 지원금총 적립금

    저축기간 본인적립금 경기도 적립금 총적립금
    2년 240만 원 480만 원 720만 원
    4년 480만 원 960만 원 1440만 원
    6년 720만 원 1440만 원 2160만 원

     

     

    지원 대상

    • 경기도 내 거주하는 만 15세 이상 24세 이하의 가정 밖 청소년.
    • 청소년쉼터나 청소년자립지원관에서 1년 이상 거주 또는 지원받은 청소년.
    • 선정된 청소년은 2년 단위로 최대 6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가입기간

    • 2년 단위로 최대 6년

     

    신청 방법

     

    신청 희망자는 필요 서류를 준비하여 현재 거주 중인 청소년 쉼터에 신청해야 합니다.

     

    • 쉼터를 퇴소한 청소년은 최종 거주했던 청소년 쉼터나 현재 지원받고 있는 자립지원관에 신청하면 됩니다.
    • 거주 중인 청소년쉼터 또는 청소년자립지원관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지원내용

    ‘자립두배통장’은 청소년쉼터나 청소년자립지원관을 이용한 청소년들이 매월 1만 원 이상 10만 원 이하로 자유 저축하면 저축액 2배(최대 20만 원)를 도가 추가 적립해 최소한의 자립 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청소년이 매월 10만 원을 저축하면 2년간 원금 기준으로 240만 원, 도 지원금은 480만 원이며, 최대 6년간 저축하면 원금기준 720만 원, 도 지원금은 1,440만 원으로 총 2,160만 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저축 기간본인 적립금경기도 지원금총 적립금

    저축기간 본인적립금 경기도 적립금 총적립금
    2년 240만 원 480만 원 720만 원
    4년 480만 원 960만 원 1,440만 원
    6년 720만 원 1,440만 원 2,160만 원

     

     

    마무리

    이상으로 청소년쉼터나 청소년자립지원관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자립을 지원하는 사업인 자립2배통장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청소년의 초기 자립자금을 마련하는데 최대 720만 원만 적립해도 2,160만 원까지 지급하는 파격적인 상품이니 자격이 되는 청소년은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몰라서 못받는 정부지원금 확인방법 신청방법

    정부에서는 각종 지원금을 제공하는데 기관별로 각각 운영하기에 일반인 입장에서는 한 번에 확인하고 신청하기에 상당히 번거롭다. 이번에는 이러한 정부지원금을 한 곳에서 확인하고 내가

    flink.tistory.com

     

     

    국민건강보험 환급금 (1인 평균 135만원) 대상확인, 신청방법

    국민건강보험 환급은 우리가 납부한 보험료를 이중납부 또는 착오납부 등 과오납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는데, 저소득층은 물론 소득이 많더라도 건강보험료를 납부하는 전 국민을 대

    flink.tistory.com

     

    반응형